-
[경제 쉽게 알기] ETF vs ETN 차이점은?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비교!카테고리 없음 2025. 4. 10. 22:04
주식이나 재테크를 공부하다 보면
ETF, ETN이라는 용어를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성격은 꽤 다르죠.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와 ETN의 차이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ETF란? (상장지수펀드)
여러 자산을 묶어 만든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만든 상품
-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
- 코스피, 나스닥, 금, 원유 등 다양한 자산을 추종
- 실제 자산을 바구니처럼 보유해서 가격이 결정됨
📌 예시:
- KODEX 200: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
- TIGER 미국S&P500: 미국 대표 지수 추종
✅ ETN이란? (상장지수채권)
발행 증권사의 ‘신용’에 기반한 투자 상품
-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
- ETF처럼 지수를 추종하지만, 실제로 자산을 보유하지 않음
- 대신 발행한 증권사가 "우리가 이 지수를 따라갈게요"라고 약속하는 구조
📌 예시:
- 신한 S&P500 선물 ETN
- 미래에셋 원유선물 ETN(H)
✅ 주요 차이점 한눈에 보기
구분 ETF ETN 자산 보유 실제 자산 보유 없음 (신용 기반) 발행 구조 자산운용사 증권사 수익구조 자산 가격 따라 직접 반영 추종 수익률을 따라간다는 약속 신용위험 거의 없음 발행사의 신용에 따라 위험 유동성 상대적으로 풍부 발행량 제한 가능성
📈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 ETF가 더 안전하고 투명한 구조
- ETN은 특수한 지수나 레버리지 상품에 강점
- 단, ETN은 발행사의 부도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투자 전 신용등급과 발행사 안정성 확인 필수!
📝 마무리
ETF와 ETN은 비슷한 듯 다르지만
기초 자산의 보유 유무와 신용위험의 존재 여부가
가장 큰 차이입니다.처음 투자를 시작하는 분이라면,
ETF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유리할 수 있습니다.반응형